
현재 위치 :뉴스
해진공, 코로나 긴급지원 신속 추진
출처: 편집 :编辑部 발표:2020/03/15 10:07:33
- 12일 이사회에서 6개 긴급대책 의결
한국해양진흥공사(사장 황호선)는 3월 12일 이사회를 열어 ‘코로나19 관련 해운업 긴급 지원책’을 확정했으며 곧바로 시행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 3월 2일 해양수산부에서는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국적선사의 경영 안정화를 돕기 위해‘코로나19 관련 해운항만분야 추가 지원 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공사는 정부가 발표한 대책에 담겼던 내용을 바탕으로 해운업 긴급 지원을 위한 6개 분야의 구체적인 정책‧금융지원안을 마련했고 ‘12일 이사회에서 이를 의결했다.
긴급 경영자금 대출 협약·금융이자 지원
공사는 한중카페리선사(300억), 국적외항화물선사(900억), 항만하역사(300억)에 대해 총 1500억원 규모의 긴급 경영자금을 지원키로 했다. 긴급 경영자금 지원 방식은 대출규모의 자금을 금융기관에 예치하고 해당 금융기관이 대출심사를 통해 해운항만물류기업들에게 운전자금으로 지원하는 구조다.
공사는 금융기관에 예치한 자금에 대해 이자수입을 받지 않는 대신 해당 이자만큼 금융기관이 선사의 대출 금리를 감면하게 된다. 이를 위해 공사는 IBK기업은행, Sh수협은행과 긴급 경영자금 대출 협약을 체결했고 대상선사 지원시기에 맞춰 대출이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고객의 편의를 위해 대출 협약 금융기관을 점차 확대해 운영할 방침이다.
공사는 한중카페리선사의 경우 대리점을 포함해 총 14개사에 대해 1사당 최대 20억원씩 기업은행과 수협은형을 통해 신청을 받아 대출을 집행해 나갈 계획이다. 카페리선사들은 3월 16일부터 대출협약 금융기관 각 지점에서 대출 상담 및 신청이 가능하다.
외항선사와 하역사의 경우는 지원조건이 ‘코로나사태 3개월 이상 지속’이기 때문에 지원시점은 4월 3일 이후부터 대출이 가능하다. 대출규모는 외항선사가 사당 최대 50억원, 하역사가 최대 20억원이며 기업은행과 수협은행외에 2~4개사 기관이 추가될 예정이다. 대출기간은 모두 1년이며 1년 연장이 가능하다.
한중카페리 선박금융 재금융 보증 지원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지난 1월 30일부터 한중 여객운송이 전면 중단된 한중항로 국제여객선사를 대상으로 기존 선박에 대해 재금융이 필요한 경우 금융잔액의 50%까지 후순위 보증을 제공하며 공사 보증절차에 따라 보증요율 1.5%로 지원한다. 국제여객선에 대한 재금융 보증은 현 코로나19 사태가 3개월이 되는 4월 3일 이후부터 경보 해제 시까지 한시적으로 지원된다.
S&LB 지원 조건 완화
물동량 감소로 인해 피해가 예상되는 한중항로 운항선박을 대상으로 신규 S&LB 조건을 완화한다. 지원대상은 한중 항로 운항선박 중 물동량 감소가 입증된 선박으로 현재 70~80% 수준인 LTV를 80~90%까지 완화하고 기존금리에서 추가로 5% 정도를 인하해 금융부담 완화 및 유동성 공급을 지원할 예정이다. 해당 지원 역시 4월 3일 이후부터 신청이 가능하며 코로나19 경보 해제 시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된다.
기존 S&LB 투자원리금 상환 유예
기존에 지원된 S&LB 선박의 원리금 등을 유예한다. 지원대상은 한중 항로를 운항하는 컨테이너선을 우선 지원하고, 향후 사태가 악화될 경우 그로 인한 피해가 입증된 선박까지 지원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원리금 또는 원금의 유예는 6개월 이상 최장 1년까지 가능하다. 해당 지원은 즉시 신청 가능하며 코로나19 경보 해제 후 3개월까지 접수를 받을 계획이다.
친환경설비 설치 기한 유예
이 밖에도 친환경설비 개량지원 대상선사 중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조선소 일정도 지연됨에 따라 3월말까지 설비 설치가 불가능한 경우, 코로나19 종료시점부터 3개월까지 설치기한을 유예한다.
국가필수선박 보조금 조기 집행
또한 국가필수선박으로 지정된 선박에 대한 지원예산 약 57억원 중 50%를 6월까지 조기에 집행해 해당 선사의 인건비 부담을 경감할 계획이다.
황호선 한국해양진흥공사 사장은 “코로나 19사태 확산에 따른 선사들의 경영악화를 최소화하고 원활한 화물운송체계를 유지하기 위해 공사는 지원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추후 사태가 장기화되는 경우 상황에 맞는 대응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