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뉴스

    코로나 금융지원 재연장 '무게'…저축은행 '출구 고심'

    출처:EBN    편집 :编辑部    발표:2021/08/04 14:33:14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자영업자 등을 대상으로 지원된 대출 만기 연장 및 원금·이자 유예 지원이 재연장 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상대적으로 중·저신용자 대출이 많은 저축은행업권은 난색을 표하고 있다. 코로나 대출이 재연장 될 경우 잠재부실 리스크가 누적돼 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금융당국과 은행권은 코로나19 대출 만기 연장과 이자상환 유예 조치의 재연장 여부 논의에 착수했다.


    앞서 금융권은 정부 지침에 따라 지난해 4월부터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한 대출 지원을 시작했고 대출 만기 연장 및 이자유예조치 등의 금융지원조치가 이뤄졌다. '코로나 대출'은 지난해 9월과 올해 3월 두 차례에 걸쳐 6개월씩 연장된 바 있다.


    애초 다음달 대출 만기연장을 종료할 계획이었지만 지난달 델타 변이로 인해 코로나19가 다시 확산하면서 금융당국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도 최근 기자들을 만나 자리에서 "코로나19 델타 변이를 8월에 좀 잡는다면 (9월 종료) 계획대로 갔으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으면 (추가연장) 가능성도 있다"며 "8월 말까지 지켜보고 이야기해도 늦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금융권에선 한차례 더 연장될 가능성에 무게를 싣고 있다. 저축은행들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한 금융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에 대해서는 공감하면서도 재연장은 조심스럽게 접근해야한다는 의견이다.


    향후 대출 지원 프로그램을 6개월 다시 연장하면 결국 이자만 2년 치를 갚아야 하기 때문에 차주에게 더 큰 부담으로 다가온다. 또 기간이 늘어날수록 저축은행의 건전성 지표가 악화될 수 있고 부실이 한꺼번에 터졌을 대 감당할 리스크도 높아진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지난달 23일 기준 저축은행업권 금융지원 규모는 총 5700억원에 달한다. 만기연장이 3175억원, 원금상환유예 2180억원, 이자유예 375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은행권보다 코로나 금융지원 규모는 크지 않지만 저축은행들은 차주의 특성 때문에 리스크가 더 크다. 저축은행은 2금융권 중에서도 차주의 평균 신용등급이 낮다. 또 다중채무자가 많은 만큼 쌓인 부실이 한꺼번에 쏟아질 수 있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소상공인 등 저축은행 대출 이용자의 자금사정은 더 악화되는 상황"이라며 "상환 유예 종료로 특정 시점에 상환부담이 커져 부실 징조가 한꺼번에 나타날까 우려스럽다"고 전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당국의 판단을 기다리고 있다"면서 "취약차주의 상환 부담을 줄여주는 점진적 출구 방안을 마련해야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