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뉴스

    원자재 가격 18.6%↑…주요 수출기업 수익성 '악화'

    출처:EBN    편집 :编辑部    발표:2021/11/19 10:10:25

    최근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인해 국내 수출기업들의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다. 원자재 가격 상승분이 제품가격에 반영돼 소비자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19일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매출액 500대 기업 중 12대 수출 주력 업종을 대상(100개사 응답)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기업 영향 조사'를 진행한 결과 기업들의 올해 원자재 구매 가격은 전년 대비 평균 18.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2대 수출 주력 업종은 반도체, 일반기계, 자동차, 석유화학, 철강, 석유제품, 선박,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바이오헬스, 컴퓨터, 이동통신기기 등이다.


    업종별 원자재 구매 가격 증가율은 △철강 29.8% △석유화학·제품 26.3% △일반기계·선박 19.5% △전기전자 12.5% △바이오헬스 11.6% △자동차·부품 10.5% 등으로 조사됐다.


    전년 대비 올해 원자재 구매 가격이 상승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영업이익의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원자재 구매 가격이 오른 기업 중 83.5%는 영업이익이 하락했다고 응답했다. 평균 영업이익 변동률은 5.9%로 조사됐다.



    원자재 구매 가격 상승에 따른 업종별 영업이익 변동률.ⓒ한국경제연구원원자재 구매 가격 상승에 따른 업종별 영업이익 변동률.ⓒ한국경제연구원


    업종별 영업이익 변동률은 일반기계·선박이 8.8%로 가장 큰 폭 감소했다. 이어 △석유화학·제품 7.1% △바이오헬스6.0% △철강 5.7% △자동차·부품 5.2% △전기전자 1.8% 순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올해 원자재 구매 가격이 상승한 기업들의 과반(65.2%)은 △제품가격 인상(34.1%) △원자재 외 원가절감(31.1%)을 통해 원자재 가격 상승에 대응한다고 답변했다.


    이외에도 △원자재 선구매 및 확보 15.9% △대체 원자재 발굴 12.2% △대응없음 3.0% △옵션 등 파생상품 활용 1.1% △공장 가동 중단 0.4% 등이 대응방안으로 제시됐다.



    ⓒ한국경제연구원ⓒ한국경제연구원


    한편 제품가격 인상을 통해 원자재 가격 상승에 대응한다는 기업들의 평균적인 제품가격 인상률은 13.8%로 나타났다.


    업종별 제품가격 인상률은 △석유화학·제품 19.6% △철강 18.4% △일반기계·선박 12.5% △자동차·부품 10.4% △바이오헬스 7.5% △전기전자 6.9% 순이었다.


    원자재 가격 전망을 묻는 질문에서 기업들의 76.1%가 원자재 가격 상승이 6개월 이상 지속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원자재 가격 상승 기간 전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개월 이내 0.4% △3개월 이내 3.3% △6개월 이내 20.2% △1년 이내 45.8% △3년 이내 24.2% △3년 이상 6.1% 등이었다.


    기업들의 매출원가 중 원자재 구입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41.0%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석유화학·제품 53.3% △철강 46.7% △전기전자 37.0% △바이오헬스 36.2% △일반기계·선박 34.4% △자동차·부품 33.7% 등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이 구매하는 전체 원자재 중 수입 원자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41.7%로 나타났다. 업종별 비중은 △석유화학‧제품 47.9% △바이오헬스 46.2% △전기전자 45.0% △일반기계·선박 38.5% △자동차·부품 38.3% △철강 27.5% 등이었다.


    기업들은 원자재 가격 변동성에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정부 정책으로는 △해외자원개발 지원 등 안정적 원자재 수급처 확보(44.0%) △원자재 수입관세 인하(37.9%) △폐자원 재활용 지원을 통한 원자재 확보(9.9%) △정부의 원자재 비축물량 방출(8.2%) 등을 제시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자원 빈국인 한국은 원자재의 수입 비중이 높아 국제 원자재 가격 변동성에 취약하다"며 "단기적으로는 원자재 수입관세를 인하해 생산자 물가 안정화 및 소비자 물가로의 전이를 막고 장기적으로는 해외자원 개발을 지원해 안정적인 원자재 수급처를 확보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