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뉴스

    GS건설 국토부 출신 잇단 사외이사 영입

    출처:EBN     편집 :编辑部    발표:2022/05/24 08:18:28

    GS건설이 국토부 출신 전 장차관을 6년 새 3명을 잇따라 사외이사로 적극 영입하는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GS건설은 지난 25일 정기주주총회에서 강호인 전 국토부 장관을 사외이사로 신규 선임하는 안건을 통과시켰다.


    GS건설은 강 전 장관 이전에도 국토부 출신 인사를 사외이사로 앉히는 등 이번 선임이 처음은 아니다. 2016년 권도엽 전 국토부 장관을 사외이사로 선임했고 2019년에는 김경식 전 국토부 1차관을 사외이사에 앉혔다. 사외이사 임기가 3년인 것을 감안하면 김 전 차관의 임기가 올해 만료돼 그 다음 타자로 강 전 장관을 선임한 것으로 보인다.


    강 전 장관은 2015년 1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국토부 장관을 지냈다. 2012년 5월부터 2013년 3월까지는 제30대 조달청 청장을 역임하고 2010년부터 2011년까지는 기획재정부 차관보를 지낸 경제 관료 출신이다. 2020년부터는 법무법인 율촌 고문과 지난해 3월부터는 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특히 강 전 장관은 지난해 3월 맘스터치앤컴퍼니 사외이사로 선임된지 1년1개월 만에 사임하고 GS건설 사외이사에 선임됐다. 강 전 장관이 맘스터치에서 2024년 임기가 만료되는데도 불구하고 돌연 사임서를 제출한 데는 상법상 겸직제한 금지 규정에 위반되기 때문이다.


    강 전 장관은 최근까지도 지난해 3월 맘스터치앤컴퍼니에서, 같은 해 11월에는 SK스퀘어 사외이사로 선임돼 2개 회사 사외이사를 겸직하고 있었다. 여기에 GS건설 사외이사로 선임되기 위해선 겸직 제한 규정에 어긋나지 않으려면 2곳 중 1곳 회사의 사외이사직을 포기해야 결격사유가 없다.


    이처럼 강 전 장관이 사임을 강행하면서까지 GS건설 사외이사 자리를 사수한 배경에는 회사의 성장을 위한 사업 추진 측면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GS건설이 이전에도 국토부 출신 인사를 영입해 온 점과 건설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부처 고위 관료를 지속적으로 영입한 사례는 '건설 산업 전문가'로서 영향력을 지닌 그들의 네트워크를 이용해 사업 확장에 나서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지난 25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인수위)의 국토교통부 업무보고 현장을 직접 찾아 부동산을 직접 챙기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주택 250만호 공급 방안을 발표하며 이를 위한 재건축‧재개발 등에 대한 규제 완화도 함께 예고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건설과 국토부 장관의 연결성을 볼 필요가 있다"며 "건설 산업과 관련해 국토부 장관은 상당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 국토부 출신이라는 인지도를 활용해 사업 확장에 나서려고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윤석열 정부가 부동산 정책과 관련 공급을 활성화 하겠다고 한 가운데 국토부 출신들이 특정 건설사의 사외이사로 선임된다는 것은 수주를 받는 등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고 본다"고 내다봤다.


    다만 그는 "대형건설사인 GS건설의 이 같은 행보가 몸집을 키우는데는 정작 도움될 수 있겠지만 건설업 전문가들을 대거 영입함으로 중소 건설사들은 위축될 수 밖에 없는 구조"라고 우려했다.


    이에 대해 GS건설 관계자는 "건설산업 전문가로서 회사 내 투자 의사 결정과 리스크 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을 아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