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뉴스

    반도체 혹한기, OEM 시장으로 확산…10대 반도체 고객사 칩 구매액 7.6% ↓

    출처:bada.ebn.    편집 :编辑部    발표:2023/02/07 14:46:10

    PC와 스마트폰 수요 약화, 반도체 공급 개선과 메모리 가격 하락에 칩 구매액 감소




    ⓒ픽사베이ⓒ픽사베이


    반도체 혹한기의 여파 주문자상표 부착(OEM) 시장에도 이어지고 있다. 세계적인 인플레이션(물가 상승)과 경기 침체의 압력으로 PC와 스마트폰 수요가 악화되면서 글로벌 OEM 생산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7일 시장조사업체 가트너가 실시한 예비조사에 따르면 상위 10대 글로벌 OEM 기업들의 지난해 반도체 칩 지출액은 전년 대비 7.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이들의 반도체 칩 지출액은 전체 시장의 37.2%를 차지하는데 그쳤다.


    마사츠네 야마지 가트너 애널리스트는 "PC와 스마트폰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급감하면서 상위 OEM 기업들이 단위 생산량과 출하량을 늘리지 못했다"고 분석했다.


    또 야마지는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이 전자 부품 공급망에 심각한 자재 부족과 단기적 공급 중단을 야기시켰다고 봤다.


    그는 "자동차, 네트워크 및 산업용 전자제품 시장에 반도체 부족 현상이 지속되면서 반도체 칩의 평균판매단가가 상승하고, 관련 시장의 반도체 매출이 급격히 증가한 바 있다"며 "이는 상위 OEM 업체들이 2021년 대비 2022년에 전반적인 반도체 지출 비중을 줄이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설명했다.


    2021년 상위 10대 기업 모두 2022년에도 10위권을 유지했으며, 애플과 삼성전자 역시 1, 2위를 지켰다. 그 중 2022년 반도체 지출액을 늘린 기업은 삼성전자와 소니 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애플은 4년 연속 반도체 소비 기업 1위를 차지했다. 자체 설계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탑재하는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전환하면서 컴퓨팅 MPU(microprocessing Units) 지출이 11.7% 감소했으나, 비메모리 칩에 대한 지출은 전년 대비 2.8% 증가했다.


    삼성전자는 칩 지출을 전년 대비 2.2% 늘리며 2위 자리를 유지했다. 폴더블폰 시장을 이끌며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을 높였을 뿐만 아니라, 경쟁사에 영향을 미친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의 수혜를 입어 지난해 반도체 지출이 증가했다.


    소니는 플레이스테이션 5가 지속적인 관심을 받으면서 지난해 칩 지출액이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했다. 그러나 연중 내내 계속된 심각한 칩 부족 현상과 물류 네트워크 중단으로 인해 생산량이 수요 수준을 따라가지 못했다.


    야마지는 "2022년 반도체 매출의 약 25%를 차지한 메모리는 부진한 수요 속 하반기 가격 급락으로 매출이 10%나 감소하는 등 디바이스 분야 중 최악의 실적을 기록했다"며 "전체 메모리 지출액 중 상위 10대 OEM 기업의 비중은 49.2%에 그쳤으며, 결과적으로 메모리 지출 규모가 크게 감소했다"고 덧붙였다.



    ⓒ가트너ⓒ가트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