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뉴스

    급한 불 끈 ‘역전세난’…가을 이사철 ‘깔딱고개’

    출처:bada    편집 :编辑部    발표:2023/08/16 16:58:51

    7월 서울과 수도권 전세가격 상승 전환

    전세보증금 반환 대책에 자금 흐름 개선

    “가을 입주물량 상당, 역전세 해소 아직”


    서울 아파트 전경, 본문과 무관. [출처=연합]

    서울 아파트 전경, 본문과 무관. [출처=연합]


    최근 전세가격이 점차 오르고 있는 가운데 정부의 전세보증금 반환 대책까지 더해지면서 ‘역전세 리스크’가 개선되고 있다. 다만 가을 이사철이 돌아오는 데다 10월부터 입주 예정물량도 많은 상황이라 역전세 우려가 완전히 해소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1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7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 전국 주택종합 전세가격은 -0.04%로 전월(-0.16%) 대비 하락폭이 축소됐다. 수도권(-0.09%→0.10%)과 서울은(-0.06%→0.12%)은 상승으로 전환됐다.


    한국부동산원 측은 “정주요건 양호한 지역 위주로 임차수요 증가하는 가운데 서울은 송파·마포구 등에서 대단지 및 중소형 평형 위주로, 경기는 하남·화성시 위주로 상승했다”라고 설명했다.


    아파트 전세 신규계약 비중도 감소세다.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통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체결된 수도권 아파트 전세계약 24만8324건 중 계약 유형이 신규인 14만3118건의 비중을 월별로 구분한 결과 수도권 전세 신규계약 비중은 지난 4월 60.3%까지 치솟다가 7월에는 54.7%까지 낮아졌다.


    4월 대비 7월 신규계약 비중은 수도권 전역에서 낮아졌는데 지역별로 △서울(59.7%→52.0%) △경기(59.7%→54.7%) △인천(66.1%→64.3%) 순으로 감소폭이 컸다. 전세가격 회복이 빠른 지역일수록 갈아타기 움직임이 둔화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전세시장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고 정부의 보증금 차액 반환 대출 완화 등 대책이 마련되면서 역전세 위험성은 줄어들고 있는 분위기다. 정부는 전세금 반환이 어려운 집주인에 대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40% 규제 대신 총부채상환비율(DTI) 60%를 적용하기로 결정했다.


    전세가격 하락으로 전세금 반환이 지연돼 주거 이동이 제약되거나 전세금 미반환 우려로 불안해하는 세입자들이 보증금을 원활히 돌려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아직 역전세가 완전히 해소됐다고 보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조만간 가을(9월~11월) 이사철이 시작되는 데다 10월과 11월에는 수도권 아파트 입주 예정물량이 몰려 있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이사철인 가을은 매매는 물론 전월세 가격 변동도 커지는 시기다.


    직방 조사를 보면 10월에는 3만5407(수도권 1만8094)가구, 11월 3만3093(수도권 1만7351)가구가 입주 예정이다. 총세대수 30세대 이상 아파트만 포함됐고 임대단지와 연립을 제외한 수치로 실제 입주 물량은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윤지해 부동산114R리서치센터 수석연구원은 “지난달 말 정부가 전세보증금 반환 대책을 시행한 후 임대인들의 자금 흐름이 개선되며 역전세 우려감이 낮아지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가을 이사철에 2021년 전셋값 고점에 계약한 물건이 몰려 있고 10월과 11월에는 수도권 아파트 입주 예정물량도 상당한 만큼 역전세 고비를 100% 넘겼다고 해석하기는 어렵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