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뉴스

    현대홈쇼핑도 LG헬로 방송 중단…송출수수료 갈등 확산

    출처:bada    편집 :编辑部    발표:2023/08/25 16:08:42

    송출 수수료 두고 유료방송·홈쇼핑 갈등 확산

    현대홈쇼핑, 내달 29일 LG헬로 방송 중단 통보

    케이블TV 등 가입자 이탈 우려, “정부, 적극적 중재 나서야”

    지난 3월 16일 서울 종로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대회의실에서 열린 유료방송-홈쇼핑 업계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난 3월 16일 서울 종로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대회의실에서 열린 유료방송-홈쇼핑 업계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홈쇼핑 송출 수수료를 둘러싸고 수년째 이어져 온 유료방송 사업자와 홈쇼핑 사업자 간 갈등이 최고조에 다다르고 있다. 올해 초 정부가 양측의 갈등을 풀기 위한 해법으로 가이드라인을 내놓았지만,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하면서 여전히 이견차가 지속되는 모습이다.


    일부 유료방송 사업자의 경우 지난해 송출 수수료 계약조차 체결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최근 홈쇼핑 사업자들이 방송송출 중단까지 예고하면서 협상은 더욱 난항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2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LG헬로비전은 현대홈쇼핑과 송출 수수료에 대한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면서 현재까지 전년도 송출 수수료 관련 계약을 체결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 유료방송 사업자와 홈쇼핑 사업자 간 송출 수수료 계약은 연 단위로 이뤄지지만, 원활한 방송 송출을 위해 해를 넘기면서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 다만 송출 수수료 인상률 등을 두고 양측의 의견 조율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계약이 점차 지연되면서 갈등이 커지는 형국이다.


    특히 현대홈쇼핑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송출 수수료를 50% 가까이 감액해 LG헬로비전에 지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3월 발표한 ‘홈쇼핑 송출 수수료 가이드라인 개정안’에는 송출 수수료 협상 중 전년도 계약 기준을 적용해 송출 수수료를 지급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현재 현대홈쇼핑은 개별 SO(종합유선방송사업자)에도 다음달 29일부터 LG헬로비전에 방송 송출을 중단한다는 내용의 공문을 전달한 상태다.


    이와 관련해 LG헬로비전 측은 “현대홈쇼핑과 송출 수수료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일축했다.


    송출 수수료는 홈쇼핑 사업자가 IPTV(인터넷TV), 케이블TV, 위성방송 등 유료방송사업자에게 채널을 배정받고 지불하는 비용을 뜻한다. 홈쇼핑 사업자들은 유료방송 사업자에게 지불하는 송출 수수료가 과도하다며 인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홈쇼핑 12개사가 지불한 송출 수수료는 2조4148억원으로, 전년 대비 7% 가량 늘었다. 일부 홈쇼핑 사업자들은 수익성 악화 등을 이유로 송출 수수료 인하를 요구하는 상황이다.


    반면 유료방송 사업자들은 홈쇼핑 사업자들이 할인혜택 등을 앞세워 모바일·인터넷 주문을 유도한다는 점 등을 들어 실제 송출 수수료에 따른 부담이 낮다는 입장을 강조한다.


    과기정통부도 지난 3월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를 바탕으로 홈쇼핑 송출 수수료 가이드라인 개정안을 내놓으며 중재에 나섰지만, 법적 강제성이 없어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일부 홈쇼핑 사업자는 가이드라인에 따른 명확한 협의를 시작조차 하지 않은 상태에서 채널번호 이동 및 프로그램 제공 종료 등을 언급하며 자사 입장만을 주장하고 있다”며 “타 홈쇼핑 사업자가 송출되는 채널번호에 대해 뒷계약을 하는 사례도 있어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롯데홈쇼핑은 딜라이브 강남케이블티브이에 10월 1일부터 방송 송출을 중단하겠다고 통보했으며, 이같은 내용을 지난 21일 자사 홈페이지에 공지했다.


    가입자 확보에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케이블TV 사업자들은 방송 송출 중단에 따른 가입자 이탈 등을 고심하는 모습이다. 지난해 하반기 케이블TV 가입자(6개월 평균)는 1272만9441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만명 가량 줄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일부 홈쇼핑사의 과도한 주장으로 송출 수수료 협상이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며 “협상이 정부의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과기정통부의 보다 적극적인 중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