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위치 :뉴스
공공요금·재룟값·인건비 3중苦…외식물가 ‘더’ 오를 듯
출처:bada지난달 공공서비스 물가 2.2%↑ ‘급등 수준’ 업계는 관망세 속 4월 총선 후 줄인상 예고 지난해 하향 안정 원재룟값도 다시 상승 곡선 공공요금 인상이 먹거리 물가를 자극하고 있다. 연합뉴스 공공요금 인상이 먹거리 물가를 자극하고 있다. 연합뉴스 공공요금 상승세가 연초에도 이어지면서 먹거리 물가 줄인상이 점쳐진다. 이미 일부 프랜차이즈를 중심으로 가격 인상이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제22대 총선(국회의원 선거, 4월10일) 이후 정부가 미뤄뒀던 공공요금까지 오를 경우 물가 급등세는 불가피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2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 1월 공공서비스 물가는 1년 전보다 2.2% 올랐다. 2021년 10월 6.1% 오른 뒤 2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세다. 당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지원에 따른 기저효과가 컸던 점을 감안해 2021년 10월을 제외할 경우, 지난 1월 상승폭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10월(2.3%) 이후 14년3개월 만에 가장 컸다. 정부·지자체의 직간접적 관리를 받는 공공서비스 물가는 0~1% 내외에서 소폭 등락하는 것이 일반적이라는 점에서 지난달 공공물가는 급등 수준이라는 해석이다. 공공요금 인상은 곧바로 외식 물가에 반영된다. 초저가를 내세웠던 신세계푸드의 노브랜드 버거도 피해가지 못했다. 결국 지난 28일 버거와 사이드 메뉴 등 30여종의 판매 가격을 평균 3.1% 상향 조정했다. 신세계푸드 측은 가격 인상과 관련해 “원재료비, 부자재비, 물류비, 인건비, 공공요금 등 노브랜드 버거 매장 운영을 위한 비용 부담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가맹점주들의 수익 보전을 위해 불가피하게 판매가를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외식 업계는 현재까지 가격 인상을 계획하고 있는 분위기는 아니다. 다만 제반 비용이 오르는 상황인 만큼 관망세를 보이고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일각에서는 유류세, 전기, 가스 등 지난해부터 미뤄진 공공요금이 오를 경우 외식 물가는 물론 서민 물가가 크게 오를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이와 관련 정부는 이번달 말 종료 예정이던 유류세 한시적 인하 조치를 4월 말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유류세 인하 조치로 연비가 리터당 10㎞인 차량으로 하루 40㎞를 주행할 경우 월 유류비가 2만5000원가량 줄어드는데, 5월부터는 다시 정상화될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부터 줄곧 동결됐던 전기·가스요금도 한국전력과 한국가스공사의 재무 건전성을 감안하면 연내 인상이 유력하다. 정부도 ‘요금 현실화’라며 연내 인상을 예고하고 있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전기요금 인상과 관련해 “어느 시점에 얼마만큼 할지의 문제인데 올해도 현실화하려는 노력을 계속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원재료 가격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식품산업통계정보시스템(FIS)에 따르면 뉴욕 상품거래소 국제거래소(NYBOT-ICE)에서 지난 9일(현지시간) 거래된 3월 인도분 원당 선물 가격은 t당 530달러로, 지난해 말 454달러보다 16.7% 올랐다. 지난해 t당 616달러까지 오르며 전 세계적인 ‘슈거플레이션’(설탕+인플레이션) 우려를 불러왔다가 하향 안정됐던 원당 가격이 다시 상승세를 나타낸 것이다. 이밖에 소맥, 대두유, 축산우, 닭 등 국제 원료가와 국내 식량작물, 채소, 과일, 축산, 수산물 원료 가격도 상승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인건비와 물류비는 꾸준히 오르고 있고 지난해부터 운영비 부담이 누적된 상황이라 당장이라도 올리는 게 맞지만 시장 상황을 살피는 것으로 보인다”며 “4월 이후 공공요금 등 가격 인상 요인이 나오면 (가격)조정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편집 :编辑部 발표:2024/02/29 10:23:53
지난달 공공서비스 물가 2.2%↑ ‘급등 수준’
업계는 관망세 속 4월 총선 후 줄인상 예고
지난해 하향 안정 원재룟값도 다시 상승 곡선
공공요금 상승세가 연초에도 이어지면서 먹거리 물가 줄인상이 점쳐진다. 이미 일부 프랜차이즈를 중심으로 가격 인상이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제22대 총선(국회의원 선거, 4월10일) 이후 정부가 미뤄뒀던 공공요금까지 오를 경우 물가 급등세는 불가피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2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 1월 공공서비스 물가는 1년 전보다 2.2% 올랐다. 2021년 10월 6.1% 오른 뒤 2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세다.
당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지원에 따른 기저효과가 컸던 점을 감안해 2021년 10월을 제외할 경우, 지난 1월 상승폭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10월(2.3%) 이후 14년3개월 만에 가장 컸다.
정부·지자체의 직간접적 관리를 받는 공공서비스 물가는 0~1% 내외에서 소폭 등락하는 것이 일반적이라는 점에서 지난달 공공물가는 급등 수준이라는 해석이다.
공공요금 인상은 곧바로 외식 물가에 반영된다. 초저가를 내세웠던 신세계푸드의 노브랜드 버거도 피해가지 못했다. 결국 지난 28일 버거와 사이드 메뉴 등 30여종의 판매 가격을 평균 3.1% 상향 조정했다.
신세계푸드 측은 가격 인상과 관련해 “원재료비, 부자재비, 물류비, 인건비, 공공요금 등 노브랜드 버거 매장 운영을 위한 비용 부담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가맹점주들의 수익 보전을 위해 불가피하게 판매가를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외식 업계는 현재까지 가격 인상을 계획하고 있는 분위기는 아니다. 다만 제반 비용이 오르는 상황인 만큼 관망세를 보이고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일각에서는 유류세, 전기, 가스 등 지난해부터 미뤄진 공공요금이 오를 경우 외식 물가는 물론 서민 물가가 크게 오를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이와 관련 정부는 이번달 말 종료 예정이던 유류세 한시적 인하 조치를 4월 말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유류세 인하 조치로 연비가 리터당 10㎞인 차량으로 하루 40㎞를 주행할 경우 월 유류비가 2만5000원가량 줄어드는데, 5월부터는 다시 정상화될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부터 줄곧 동결됐던 전기·가스요금도 한국전력과 한국가스공사의 재무 건전성을 감안하면 연내 인상이 유력하다.
정부도 ‘요금 현실화’라며 연내 인상을 예고하고 있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전기요금 인상과 관련해 “어느 시점에 얼마만큼 할지의 문제인데 올해도 현실화하려는 노력을 계속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원재료 가격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식품산업통계정보시스템(FIS)에 따르면 뉴욕 상품거래소 국제거래소(NYBOT-ICE)에서 지난 9일(현지시간) 거래된 3월 인도분 원당 선물 가격은 t당 530달러로, 지난해 말 454달러보다 16.7% 올랐다.
지난해 t당 616달러까지 오르며 전 세계적인 ‘슈거플레이션’(설탕+인플레이션) 우려를 불러왔다가 하향 안정됐던 원당 가격이 다시 상승세를 나타낸 것이다.
이밖에 소맥, 대두유, 축산우, 닭 등 국제 원료가와 국내 식량작물, 채소, 과일, 축산, 수산물 원료 가격도 상승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인건비와 물류비는 꾸준히 오르고 있고 지난해부터 운영비 부담이 누적된 상황이라 당장이라도 올리는 게 맞지만 시장 상황을 살피는 것으로 보인다”며 “4월 이후 공공요금 등 가격 인상 요인이 나오면 (가격)조정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