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뉴스

    [총선] 민주당 ‘압도적 과반’…국민의힘 개헌 저지선 ‘사수’

    출처:bada민주당, 22대 총선서 단독 ‘과반 의석’ 확보 ‘99석’ 국민의힘, ‘개헌 저지선’ 가까스로 사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이해찬·김부겸 상임공동선거대책위원장, 홍익표 원내대표가 10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 마련된 제22대 국회의원선거(총선) 민주당 개표 상황실에서 방송사 출구조사 결과를 지켜본 뒤 손을 잡고 있다. [제공=연합]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이해찬·김부겸 상임공동선거대책위원장, 홍익표 원내대표가 10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 마련된 제22대 국회의원선거(총선) 민주당 개표 상황실에서 방송사 출구조사 결과를 지켜본 뒤 손을 잡고 있다. [제공=연합] 더불어민주당이 22대 총선에서 단독으로 과반 의석을 확보했다. 반면 여당인 국민의힘은 총선 3연패를 당했다. 개표율 99%를 넘은 11일 오전 6시 기준 현재 민주당은 서울 강남권과 경기 동부권을 제외한 수도권 대부분 지역을 석권했다. 수도권에서 민주당은 서울 48곳 중 37곳, 경기 60곳 중 53곳, 인천 14곳 중 12곳을 확보했다. 수도권 전체 122석 중 102석을 쓸어담은 것이다. 특히 민주당은 수도권 최대 승부처로 꼽힌 서울 ‘한강벨트’에서 중성동갑·을, 영등포갑·을, 광진갑·을, 강동갑·을, 마포을, 동작갑 등 격전지를 가져왔다. ‘텃밭’인 호남(광주 8석·전남 10석·전북 10석)과 제주 3석을 모두 차지하고, ‘중원’인 충청권에서도 28석 중 21석(대전 7석·세종 1석·충남 8석·충북 5석)을 확보했다. 국민의힘 수도권 의석은 19석에 그쳤다. 서울에선 전통적 강세 지역인 ‘강남 3구’를 수성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동작을을 탈환하고 마포갑과 도봉갑을 확보했지만, 11석이라는 성적표에 빛이 바랬다. 인천(2석)은 지난 총선과 같았다. 경기(6석)는 1석 줄었다. 충청권에서도 대전과 세종은 지난 총선에 이어 ‘0석’을 기록했다. 충북도 3석으로 지난 총선과 같았다. 충남은 지난 총선보다 2석 줄어든 3석에 그쳤다. 대구·경북의 25석을 모두 차지하고 부산·울산·경남에서 40석 중 34석을 확보하는 등 전통적 강세 지역인 영남권을 지켜낸 것은 성과다. 국민의힘 지역구는 90석이다. 비례대표를 뽑는 정당 투표는 94.31% 개표율을 기록한 가운데 국민의힘 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가 37%로 가장 많이 득표했다. 민주당이 주도하는 더불어민주연합은 26.57%, 조국혁신당 24.05%, 개혁신당 3.55%다. 비례대표 당선권은 국민의미래 19석, 민주연합 13석, 조국혁신당 12석, 개혁신당 2석으로 각각 지상파 3사 시스템이 예측했다. 이로써 여당은 개헌선(200석)을 내주지 않으면서 최악의 결과는 피했지만, 지난 4년에 이어 향후 4년 동안 야권에 정국의 주도권을 완전히 내주게 됐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편집 :编辑部    발표:2024/04/11 08:59:40

    민주당, 22대 총선서 단독 ‘과반 의석’ 확보

    ‘99석’ 국민의힘, ‘개헌 저지선’ 가까스로 사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이해찬·김부겸 상임공동선거대책위원장, 홍익표 원내대표가 10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 마련된 제22대 국회의원선거(총선) 민주당 개표 상황실에서 방송사 출구조사 결과를 지켜본 뒤 손을 잡고 있다. [제공=연합]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이해찬·김부겸 상임공동선거대책위원장, 홍익표 원내대표가 10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 마련된 제22대 국회의원선거(총선) 민주당 개표 상황실에서 방송사 출구조사 결과를 지켜본 뒤 손을 잡고 있다. [제공=연합]

    더불어민주당이 22대 총선에서 단독으로 과반 의석을 확보했다. 반면 여당인 국민의힘은 총선 3연패를 당했다.


    개표율 99%를 넘은 11일 오전 6시 기준 현재 민주당은 서울 강남권과 경기 동부권을 제외한 수도권 대부분 지역을 석권했다. 수도권에서 민주당은 서울 48곳 중 37곳, 경기 60곳 중 53곳, 인천 14곳 중 12곳을 확보했다. 수도권 전체 122석 중 102석을 쓸어담은 것이다.


    특히 민주당은 수도권 최대 승부처로 꼽힌 서울 ‘한강벨트’에서 중성동갑·을, 영등포갑·을, 광진갑·을, 강동갑·을, 마포을, 동작갑 등 격전지를 가져왔다.


    ‘텃밭’인 호남(광주 8석·전남 10석·전북 10석)과 제주 3석을 모두 차지하고, ‘중원’인 충청권에서도 28석 중 21석(대전 7석·세종 1석·충남 8석·충북 5석)을 확보했다.


    국민의힘 수도권 의석은 19석에 그쳤다. 서울에선 전통적 강세 지역인 ‘강남 3구’를 수성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동작을을 탈환하고 마포갑과 도봉갑을 확보했지만, 11석이라는 성적표에 빛이 바랬다. 인천(2석)은 지난 총선과 같았다. 경기(6석)는 1석 줄었다.


    충청권에서도 대전과 세종은 지난 총선에 이어 ‘0석’을 기록했다. 충북도 3석으로 지난 총선과 같았다. 충남은 지난 총선보다 2석 줄어든 3석에 그쳤다. 대구·경북의 25석을 모두 차지하고 부산·울산·경남에서 40석 중 34석을 확보하는 등 전통적 강세 지역인 영남권을 지켜낸 것은 성과다. 국민의힘 지역구는 90석이다.


    비례대표를 뽑는 정당 투표는 94.31% 개표율을 기록한 가운데 국민의힘 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가 37%로 가장 많이 득표했다. 민주당이 주도하는 더불어민주연합은 26.57%, 조국혁신당 24.05%, 개혁신당 3.55%다.


    비례대표 당선권은 국민의미래 19석, 민주연합 13석, 조국혁신당 12석, 개혁신당 2석으로 각각 지상파 3사 시스템이 예측했다. 이로써 여당은 개헌선(200석)을 내주지 않으면서 최악의 결과는 피했지만, 지난 4년에 이어 향후 4년 동안 야권에 정국의 주도권을 완전히 내주게 됐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